그런데 왜 이렇게 자주 허기질까?
우리는 역사상 가장 많은 것을 가진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24시간 배달이 가능하고,
스마트폰 하나로 세상과 연결되며,
단 몇 초 만에 원하는 정보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이상합니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마음이 공허하다”고 말합니다.
“행복하다”고 말하는 이들은 드뭅니다.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긋난 걸까요?
이런 기분, 겪어본 적 있지 않나요?
별다른 일도 없었는데,
하루가 끝날 무렵
괜히 마음이 무겁고 허전합니다.
모든 게 괜찮은데도… 뭔가 빠진 듯한 그 느낌.
그게 바로 ‘내면의 빈곤’입니다.
행복이 없는 게 아니라,
행복을 느낄 여백이 없는 삶이죠.
SNS에 올라온 누군가의 여행 사진,
취업 성공 소식,
운동으로 다져진 몸,
새 차, 새 집, 새 브랜드.
알고 있습니다.
“남과 비교하지 말자.”
하지만 인간은 비교하는 존재입니다.
비교하지 않는다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죠.
문제는 비교가 아닌,
비교를 통해 나 자신을 끊임없이 깎아내리는 마음입니다.
그 순간 우리는 행복의 주체가 아니라
다른 삶을 부러워하는 관객이 됩니다.
가진 게 많아질수록
우리는 점점 더 불안해집니다.
왜냐하면,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잃을 게 많다”는 착각을 하거든요.
그러다 보니,
‘이미 충분하다’는 감각을 느낄 시간이 없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더 많이 갖는 삶’만을 배우고,
‘덜어내고 비우는 삶’은 배우지 못했는지도 모릅니다.
행복은 거창하거나 대단한 게 아닐지도 모릅니다.
이런 순간들이야말로
풍요로우면서도 가난하지 않은 삶의 한 조각입니다.
행복을 찾으려 애쓰기 전에,
먼저 나를 불행하게 만드는 것부터 알아야 합니다.
어쩌면 우리는
‘행복해지는 법’을 배우기보다,
‘불행해지는 법’을 너무 오래 익혀온 건 아닐까요?
그건 아마,
덜 욕망하고, 더 의미 있게 사는 일상 속에 있을 겁니다.
행복은
“내가 어디까지 가야 하는가”보다,
“지금 내가 어디에 있는가”를
제대로 바라보는 순간 시작됩니다.
진짜 빈곤은 가난한 것이 아니라,
풍요 속에서도 ‘충분하다’는 말을 못하는 마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