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사랑과 교육이라는 이름의 가스라이팅을 아시나요?

머니마니세상 2025. 4. 24. 17:15
반응형

부모와 교사, 그리고 가스라이팅 – 우리가 놓치고 있는 정서적 학대

“너 그거 못해서 어떻게 사회 나가려고 그래?”
“내가 다 너 잘되라고 그러는 거야.”
“선생님이 하라는 대로 해. 네 생각은 아직 틀렸어.”

이 말들, 낯설지 않으시죠?
많은 사람들은 이런 말을 평범한 훈육이나 교육의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이의 입장에서 보면, 이 말들은 자존감을 무너뜨리고 자기 판단력을 흔드는 **‘가스라이팅’(gaslighting)**이 될 수 있습니다.


🧠 가스라이팅, 단순한 심리 조작이 아니다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심리와 현실 인식을 조작해 자신을 의심하게 만들고, 결국 가해자의 통제를 받아들이도록 유도하는 정서적 학대입니다.

흔히 연인 관계에서의 가스라이팅이 주목받지만,
사실 가장 가까운 관계인 부모와 자녀,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그리고 더 무서운 건, 당사자조차 이것이 문제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 부모의 가스라이팅 – 사랑이라는 이름의 통제

부모는 자녀를 위한다는 이유로, 정당하게 간섭하고 있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감정이나 판단을 끊임없이 무시하고 교정하려 들면,
그건 양육이 아닌 조종이 될 수 있습니다.

예시:

  • “네가 그렇게 해서 성공할 수 있을 것 같아?”
  • “다 너 잘되라고 하는 말이야.”
  • “넌 나 없으면 아무것도 못 해.”

이런 말은 아이로 하여금 자기 판단력을 믿지 못하게 만들고,
결국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하는 힘을 잃게 만듭니다.


🧑‍🏫 교사의 가스라이팅 – 교권이라는 이름의 권력 남용

교육 현장에서도 가스라이팅은 존재합니다.
특히 수직적인 교사-학생 관계에서는, 학생이 부당함을 인식하고도 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 “네가 잘못했으니까 내가 화낸 거야.”
  • “다른 애들은 다 잘하는데 왜 너만 문제야?”
  • “선생님 말에 토 달지 마.”

이런 말은 학생에게 ‘내가 문제구나’라는 왜곡된 자기 인식을 심어주고,
학교에서의 자율성과 표현력을 크게 위축시킵니다.


💥 가스라이팅의 결과 – 자존감 붕괴와 자기효능감 상실

가스라이팅의 피해를 입은 아이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 자신의 판단보다 타인의 판단을 우선시하게 되고
  • 감정 표현에 위축되며
  • ‘나는 틀릴 수밖에 없다’는 무력감을 내면화합니다.

이러한 심리는 청소년기의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주며,
성인이 되어서도 의사결정 회피, 대인기피, 자기 부정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우리가 반드시 돌아봐야 할 말과 행동

사랑과 교육은 조종이 아닙니다.
부모와 교사가 아이를 통제하려는 순간,
그것은 '좋은 의도'라는 이름의 정서적 학대가 될 수 있습니다.

✅ 이런 말보다…
❌ “넌 안 돼” → ✅ “어떤 점이 어렵게 느껴졌는지 이야기해볼까?”
❌ “선생님 말 들어, 그냥 외워” → ✅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도 들어보고 싶어”


건강한 관계를 위한 작은 변화

  • 자녀/학생의 감정과 판단을 존중하는 말습관
  • 지적보다는 질문과 공감
  • 훈육이 아닌 성장 중심의 피드백 제공
  • 교육자/부모로서 내 언행을 점검하는 습관

가장 가까운 관계일수록 더 세심한 배려와 자기 성찰이 필요합니다.


🔖 마치며 – “내가 말한 방식이 아니라, 그 아이가 느낀 방식이 진실이다”

가스라이팅은 거창한 조작이 아닙니다.
우리가 무심코 던진 말, 아무렇지 않게 했던 행동 하나가
아이에게는 평생 지워지지 않는 정서적 상처로 남을 수 있습니다.

교육과 사랑의 이름으로 상처를 주고 있지 않은지,
오늘 한 번쯤 나 자신에게 물어보면 어떨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