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고용연장, 정년과 청년의 일자리 전쟁인가?

머니마니세상 2025. 4. 28. 06:32
반응형

📌 정년연장, 청년 일자리의 적일까? 고용시장의 뜨거운 감자

"정년 65세 추진", "청년 고용 절벽"
2025년, 한국 고용시장은 세대 간 일자리 갈등이라는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지금 논의되는 정년연장,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일까요? 그리고 청년 일자리는 정말 줄어드는 걸까요?


🔍 정년연장이란 무엇인가요?

정년연장은 법적 혹은 기업 내부적으로 설정된 퇴직 나이를 연장하는 제도입니다.
한국은 2016년부터 정년을 60세로 의무화했으며, 현재 '65세 정년 연장'이 공론화 단계에 있습니다.
이는 고령화·생산가능인구 감소라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입니다.


⚖️ 정년연장이 청년 일자리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 1. 일자리의 ‘블로킹 효과’

정년이 늘어나면 기존 고령 근로자가 자리를 오래 유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청년층의 진입로가 좁아지는 현상, 즉 **‘블로킹 효과(Block Effect)’**가 발생합니다.

기업 예시정년연장 전정년연장 후
A 공공기관 매년 신입 채용 120명 매년 85명으로 감소

특히 상대적으로 인력 구조가 고정된 공공기관과 대기업에서 신입 채용 규모 축소가 실제로 나타납니다.

📉 2. 임금구조 압박 → 청년 채용 감소

고령자 근속이 길어지면 기업은 더 많은 총임금 비용을 부담하게 됩니다.
기업들은 이를 청년 신입 대신 계약직·프리랜서로 대체하며 비용 절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통계청(2024년) 자료에 따르면,

  • 55세 이상 고령층 근로자의 월 평균 임금은 약 378만원
  • 20대 청년층은 약 248만원

👉 고령자 1인 인건비 = 청년 1.5명의 고용 기회

📊 3. 진급·성장 기회의 병목현상

정년이 늘어나면 승진·보직 이동의 흐름이 느려지고,
조직 내에서는 청년 인력의 경력 개발 경로가 제한됩니다.
이는 결국 조기퇴사경력단절로 이어지며 장기적인 고용 안정성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 반론도 있다: 정년연장은 꼭 청년 일자리의 적일까?

✅ 1. 고령층과 청년의 직무는 다르다

  • 고령층: 전문성과 경험을 요구하는 유지보수, 자문, 품질관리, 행정직
  • 청년층: 디지털, IT, 마케팅, 창의직군 중심

실제로 IT·AI 분야 청년 채용은 정년연장과 큰 연관성이 없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
(한국노동연구원, 2023)

✅ 2. 소비 여력 증가 → 청년 고용 간접 창출

정년연장을 통해 고령자의 소득이 유지되면, 소비 지출이 늘어나고,
이는 중소기업, 내수 서비스업, 청년 스타트업에 대한 간접적 수요로 연결됩니다.

📌 현대경제연구원: 정년연장 시 내수 소비 연 3.1% 증가 → 청년 고용 연간 3만 명 창출 효과


🛠 해법은 무엇인가?

🔧 1. 정년연장 + 임금피크제 연계

  • 일정 나이 이후, 임금을 점진적으로 낮추면서 정년을 연장
  • 고용 유지와 비용 안정, 청년 채용 동시 확보

🔧 2. 청년 맞춤형 고용정책 강화

  • 청년을 위한 전략 산업 중심 일자리(디지털, AI, 그린산업 등) 확대
  • 청년창업 지원금, 세제 혜택, 경력형 일자리 프로그램 확대

🔧 3. 고령 인력 재배치 및 교육 시스템

  • 단순 연장이 아닌, 고령자의 직무 재배치
  • 멘토링, 리스킬링 프로그램 운영 → 청년에게 경험 전수

📌 결론: “정년연장과 청년 일자리, 상생의 길은 없을까?”

정년연장은 시대적 요구입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연장은 세대 간 갈등, 구조적 고용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정답은 단순 연장이 아니라,
**“고령자의 고용 안정과 청년의 일자리 기회가 함께 확보되는 스마트한 해법”**입니다.

2025년 고용시장,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 '정책의 정교함'과 🧩 '세대 간 이해'입니다.

반응형